-
R39.4 효용이론, 무차별곡선, 자본배분선CFA 2020. 7. 1. 06:23
효용이론 (utility theory)
경제학에서 한 사람이 상품의 소비를 통해 만족을 얻는 개념이다. 한 개인이 상품을 소비해 가능한 한 최고로 만족스러운 수준을 얻기 위해서 소비의 상황들을 설정하고 노력한다는 것.
무차별곡선이론 (indifference theory)
효용은 주관적인 성질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기수적으로 측정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한 이론이 무차별곡선이다. 무차별곡선은 투자자에게 동일한 효용을 제공하는 위험과 수익률을 연결한 곡선으로, 각 무차별곡선에서 투자자는 동일한 효용을 갖게되므로 해당 곡선을 구성하는 투자에 대해서는 무차별적(indifferent)이 된다.
Risk aversion
- Risk seeking 위험선호
- Risk neutral 위험중립, 관심자체가 없음
- Risk averse 위험회피 (같은 수준, 낮은 위험 선택)
*이후 모든 논의에서는 투자자들은 위험회피적이라고 가정한다.
(중요) Implications ★★★
효용함수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결론:
1) 수익률이 높을수록 분산이 작을수록 효용은 증가한다
2) 효용은 만족의 크기를 측정할 수 없으며 다만 순위를 정할 뿐이다 (만족이 두배로 크다고 말할 수 없으며, 다만 효용이 더 크다고 말할 수 있음)
3) 효용은 지극히 개인적인 개념으로 투자자들간에 비교할 수 없으며 사회전체적으로 그 합을 계산할 수 없음
4) 효용함수에서 A값은 risk averse = + positive / risk averse = zero / risk lover = - negative 값을 갖는다.
E(r) = expected return, A (investor's risk aversion), σ2 the various of the return https://www.investopedia.com/terms/u/utility.asp
Utility Definition
Utility is an economic term referring to the satisfaction received from consuming a good or service.
www.investopedia.com
http://blog.naver.com/gdpresent/220754305556
무차별 곡선(indifference curve), 효용함수(Utility Function) [ 내가 공부한 미시경제학 #9 ]
이전의 포스팅에 바로 이어서 가겠습니다.도입따윈 없습니다. 궁금하면 이전 포스팅 읽고 이어서 보시기 바...
blog.naver.com
자본자산배분선
자본자산배분선은 무위험자산과 위험자산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경우, 각 자산의 투자비용에 따라 형성되는 포트폴리오의 위험과 기대수익률을 연결한 선이다. 투자자들이 각자의 무차별곡선을 자본배분선에 결합시켜 최적의 포트폴리오 선택과정을 만들 수 있다.
https://blog.naver.com/gdpresent/220674506686
자산배분선 capital allocation line: CAL [ 내가 공부한 기본투자론 #9 ]
이어지는 Chapter 6.로의 Link정도 역할하는 Chapter 5.의 마지막 부분입니다.도입은 각설하고 바로...
blog.naver.com
'CFA' 카테고리의 다른 글
R39.3 최소분산 포트폴리오 (0) 2020.06.26 R39.2 포트폴리오 효율적 투자경계선 (0) 2020.06.26 R39.2 기대수익률의 분산: 공분산 상관계수 개념 이해 (0) 2020.06.25 R39. 포트폴리오 수익률 계산 (0) 2020.06.21 R38. 포트폴리오 매니지먼트 개요 (0) 2020.06.21